상장기업의 가치평가 방법
기업의 가치는 그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가치와 기업의 미래 성장가치의 합이다.
이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현금흐름할인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1. 현금흐름할인(DCF)평가모형
투자에 대한 수익이 실현되는 기간동안 발생하는 매년의 세후 현금흐름에서
총투자액을 차감한 자유현금흐름을 적당한 할인율로 할인한 값들을 합산하여
기업가치를 구한다.
가.
순현가법(Net Present Value methodology : NPV법)
미래의 현금흐름을
자본비용으로 할인한 현재가치에서 투자비용의
현재가치를 차감하여 산출함.
나.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 IRR법)
내부수익률이란 순현가(NPV)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다.
즉 현금유입의 현가와 현금유출의 현가를 같게하는 수익율을 말한다.
따라서 IRR이 회사의 자본비용보다 높게 나타나면 투자가치가 있는 것이다.
2.
PER를 이용한 가치평가
주가수익률(Price Earning Ratio :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arning Per
Stock : EPS)
으로 나눈것으로 현재의 이익에 대해 투자자들이 얼마의 가치를 부여하느냐를 나타낸
값이다. PER가 높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미래성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ER에 EPS를 곱하면 기업의 가치를 구하고
현재의
자산가치를 구한 후 기업가치에서 차감하면 미래의 성장가치를 구할 수 있다.
3. 배수를 이용한 가치평가
미래의 계속적인 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운 기업이나 할인율을 구할 수 없는 기업은 현금흐름에 적절한 배수를 곱하여 기업의 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란 그 기업이 속한 산업내의 투자형태나 자본구조가 유사한 기업들의 배수를 이용하거나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값을 대용치로 사용한다.
경제와 케이블/뉴스및 경제용어
상장기업의 가치평가 방법
728x9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