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케이블/뉴스및 경제용어

챠트보기 - 캔들의 정의

by 데이비드킴 2009. 8. 12.
728x90

1. 롱 바디(양봉)
장대 봉이란 장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 즉, 시가보다 위에서 형성된 종가의 차이가 상당히 큰 형태로 몸통이 이전 날들의 캔들스틱의 몸통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하락장세에서의 음봉은 하락 지속형으로, 상승장에서의 양봉은 상승 지속형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마루보즈 패턴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이 패턴의 형태만으로 매매를 임하기 보다는 향후 주가를 관찰해 가며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롱 바디(음봉)
장대 봉이란 장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 즉, 시가보다 아래에 형성된 종가와 몸통이 이전 날들의 캔들스틱의 몸통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하락장세에서의 음봉은 하락 지속형으로, 상승장에서는 양봉은 상승 지속형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마루보즈 패턴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이 패턴의 형태만으로 매매를 임하기 보다는 향후 주가를 관찰해 가며 매매에 임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3. 숏 바디(양봉)
숏 바디란 장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캔들 스틱의 몸통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형태만으로 매매를 판단하기는 힘들며, 다만 전날에 긴 양봉 및 음봉이 발생한 다음 상승 및 하락 갭이 발생하며 이 캔들이 생겼다면, 장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 정도로만 인식할 수 있으며 추후 장세 전환패턴이 완성된 다음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숏 바디(음봉)
숏 바디란 장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캔들 스틱의 몸통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형태만으로 매매를 판단하기는 힘들며, 다만 전날에 긴 양봉 및 음봉이 발생한 다음 상승 및 하락 갭이 발생하며 이 캔들이 생겼다면, 장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 정도로만 인식할 수 있으며 추후 장세 전환패턴이 완성된 다음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십자(도지)
도지란 몸통이 너무 작아서 시가와 종가가 같아지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완전히 시가와 종가가 일치하는 형태는 드물며 시가와 종가의 차이가 약간 정도이면 도지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캔들의 모습대로 시가와 종가가 일치한다는 것은 시작의 심리가 현재 중립의 기운이 강하다는 것인데 이러한 중립의 기운은 이후 진행되는 심리의 변화에 따라 주가의 변동폭이 그 어느 캔들보다도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도지의 분석 방법은 흔히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는 도지가 혼자 발생되었을 때는 단지 방향 전환신호 정도로만 인식하여도 무방하나 두 세개의 캔들과 복합되어져 나타날 때는 그 의미가 크고 특히 주가가 상당 기간 상흥 후 도지가 출현하거나 주가가 상당 기간 하락 후 출현하면 이는 중요한 시장의 전환 국면이 임박해 있음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즉, 주가의 흐름이 반전되는 시기인 것입니다.
또한 이전에 알아본 큰 양봉이나 음봉의 출현 뒤에 나타나는 도지는 현재의 추세가 전환될 확률이 한층 더 크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즉, 기존의 추세가 저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도지가 출현하면 시장의 심리가 현재 중립이지만 이후의 주가 움직임에 따라 급격한 주가의 흐름이 나타나는데 만약 상승 추세에서 도지 출현 후 이후 자가가 도지 보다 더 상승한다면 상승추세가 좀 더 진행된다고 보여 하락 추세에서도 도지 출현 후 주가가 도지 보다 더 하락한다면 하락추세가 좀 더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즉 추세는 이전의 추세가 지속되는 형태로 새로운 힘에 의한 추세가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6. 그레이브스톤 도지(비석형 십자)
그레이브스톤 도지는 시초가 이후 강한 상승을 보이다가 종가가 저가인 시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할 경우에 생기는 형태입니다. 이는 전쟁터의 비석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주가가 일정기간 상승 후 이러한 형태가 발생하면 하락 전환할 확률이 높아지며 윗 그림자가 길면 길수록 훨씬 더 하락의 강도가 강합니다. 이러한 그레이브스톤 도지는 바닥국면이나 횡보국면 속에서 간혹 출현하여 상승 전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명 스투파(Stupa)라고도 합니다.

▲top
7. 드래곤 플라이 도지(잠자리형 십자)
드래곤 플라이 도지는 시가와 고가, 종가가 일치하는 형태의 캔들로 주로 주가의 전환 시점에서 나타납니다. 드래곤 플라이 도지도 그레이브스톤 도지와 같이 몸통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로 하락 추세의 막바지 국면에 나타나 급속한 승승 전환 패턴으로 작용을 하며 가끔 상승 추세의 막바지 국면에서도 나타나 하락 전환 신호의 역할도 합니다.

 
8. 릭쇼맨 도지
시가와 종가가 거의 일치하며 위아래 긴 그림자를 가지고 있는 형태의 패턴으로, 매수와 매도가 서로 확신을 가지지 못하여 급등락을 거듭하는 뇌동매매를 나타내는 패턴이며, 시가와 종가가 장중 거래범위의 중간에 위치 할 수록 위와 같은 의미로 해석하며, Long-Legged Doji라고도 불리우며, 유사한 패턴으로 High-wave Candle이 있습니다.

 
9. 포 프라이스 도지
포 프라이스 도지는 시가, 고가, 저가, 종가와 같은 4가지 가격요소 들이 모두 같을 때 나타납니다. 이 경우는 대부분 하루 종일 거래가 형성되지 않다가 종가에만 형성되는 경우로 발생 확률도 극히 드물며 시장의 방향 예측은 주로 다음날 형성되는 캔들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로 신규상장 종목이나 대형 호재나 악재 출현시 많이 나타납니다.

 
10. 화이트 마루보즈(장대양봉)
화이트 마루보즈는 매우 강력한 상승 장세를 반영하는 캔들의 형태로 상승 지속형 패턴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끔 상승 국면의 마지막에 나타나 하락 반전의 신호로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이때 몸통의 크기는 하락시 지지구간, 상승시 저항구간의 크기로 분석합니다.

 
11. 블랙 마루보즈(장대음봉)
블랙 마루보즈는 매우 취약한 하락장세를 나타내는 캔들의 형태로 하락 지속형 패턴으로 분석되어지며 추세의 고점에서 나타나면 하락반전으로 분석하고 간호 하락 마지막 국면의 투매에서 나타나 주가의 상승 반전 첫날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때 몸통의 크기는 상승시 저항구간, 하락시 지지구간의 크기로 분석을 합니다.

 
12. 오프닝 화이트 마루보즈(윗꼬리 장대양봉)
클 로징 화이트 마루보즈 형태와 반대로 시가와 저가가 일치하여 아래쪽의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종가와 고가는 다른경우로 위쪽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강한 상승 장세를 반영하는 캔들패턴으로 상승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화이트 마루보즈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13. 오프닝 블랙 마루보즈(아랫꼬리 장대음봉)
클로징 블랙 마루보즈 형태와 반대로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여 위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종가와 저가는 다른 경우로 아래쪽의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취약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캔들 패턴으로 하락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블랙 마루보즈 만큼 강하게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14. 클로징 화이트 마루보즈(아랫꼬리 장대양봉)
클로징 화이트 마루보즈 형태와 반대로 종가와 고가가 일치하여 위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시기와 저가는 다른 경우로 아래쪽의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강한 상승장세를 반영하는 캔들 패턴으로 상승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합니다.

 
15. 클로징 블랙 마루보즈(윗꼬리 장대음봉)
오프닝 블랙 마루보즈 형태와 반대로 종가와 저가가 일치하여 아래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시가와 고가는 다른 경우로 위쪽 그림자는 몸통보다 매우 작은 형태의 패턴으로 취약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캔들 패턴으로 하락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합니다.

 
16. 스피닝 탑스(하이웨이브캔들)
스피닝 탑스는 몸통의 길이에 비해 그림자의 길이가 상당히 긴 형태의 캔들입니다. 이와 같은 형태는 강세와 약세의 형세가 애매한 국면에서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한 눈치를 보일 때 나타나는데, 이 경우 스피닝 탑스의 몸통 색깔이나 그림자의 크기도 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날 캔들에 의해 주가가 영향을 받는 경우가 흔하며 이 캔들의 형태는 추세의 전환 국면이나 지지나 저항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일명 High-Wave Candle(하이 웨이브 캔들)이라고도 합니다.

 
17. 스타(별형)
별형은 전날의 긴 몸통에 이어 자주 나타나는 유형으로 추세의 고점과 저점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전환패턴 중의 하나입니다. 몸통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가끔 추세의 중간에 나타나 잠시 휴식을 가진 후 재차 이전의 추세로 주가가 다시 지속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상승 폭이나 하락 폭의 중간에 이 캔들이 출현된다고 분석을 하며 바로 이전 추세 만큼의 크기를 목표치로 설정하여 분석을 하기도 합니다.

 
18. 슈팅 스타(음봉 역망치형)
몸통의 아래쪽 그림자가 거의 없고, 몸통 위쪽 그림자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캔들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다만 상승 장세도중 이 패턴의 출현은 하락 반전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형태와 같은 역전된 망치형과 구분되어 지는 점은 상승추세에서 이 형태는 하락반전 작용을 하락추세에서 이 형태는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 입니다

728x90
반응형